비주얼 이미지

클라우드 서비스

비이랩은 고객의 클라우드 사용을 위해
최적화된 기술역량 및 운영체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 CSP 파트너십을 통해 원활한 클라우드 이용 지원
  • DBMS, WEB, WAS 기술역량을 통한 기술 지원
  • 공공기관 고객을 위한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
이미지

클라우드 도입

  • ONE-STOP 클라우드 서비스
  • 클라우드 컨설팅, 마이그레이션, 운영관리 진행
  • 고객의 니즈에 맞는 맞춤 서비스 제공
이미지

클라우드 매니지드 서비스

  • Beyond ICC를 활용한 안정적인 클라우드 운영
  • 24X365 기술지원체계 제공
  • 고객의 인프라 현황 확인을 위한 월간보고서 제공
이미지

클라우드 최신 기술 활용

  • K-PaaS를 활용한 Cloud Native 시스템 구축
  • 신기술 도입을 위한 AI & Cloud
  • 연계 서비스 제공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주요 CSP 파트너십을 통한 원활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비이랩은 KT Cloud, Naver Cloud Platform, NHN Cloud 등 주요 CSP 사업자와 파트너십 관계를 구축하여 고객의 니즈 및 상황에 맞추어 가장 적합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카드 이미지

KT Cloud Partner

국내 최대 통신사인 KT의 인프라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 가능하며, 효율적인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카드 이미지

NCP Partner

국내 최고 IT 기업인 Naver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Big Data, AI서비스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한 첨단 클라우드 환경을 제공합니다.

카드 이미지

NHN Cloud Partner

NHN의 다양한 서비스 제공 영역을 활용하여 손쉬운 서비스를 구축 가능하며, 클라우드 상세설정 기능을 통해 스마트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카드 이미지

국내외 CSP 파트너십

비이랩은 사업영역 확장에 따라 국내외 다양한 CSP와의 파트너십을 준비중이며, 클라우드 시장 선도를 위해 노력중입니다.

고객의 스마트한 클라우드 이용을 위한 기술 지원 역량

비이랩은 다양한 오픈소스/상용 DBMS, WEB, WAS 기술력을 보유하여
고객의 클라우드 이용 시 폭넓은 영역의 기술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카드 이미지

오픈소스/ 상용 DBMS

카드 이미지

오픈소스/사용 WEB, WAS

이미지

공공기관 고객을 위한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 지원

디지털서비스를 신속히 도입하기 위한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 가이드를 통해 공공기관 고객의 신속한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을 지원합니다.

  • AS-IS: 일반경쟁 입찰절차에 따라 용역 계약 진행
  • 조달요청 -> 구매규격 사전공개 -> 입찰공고 -> 입찰 -> 낙찰자 선정 -> 계약체결 및 납품 시스템 구축 시 Two Track 전략 사용
  • TO-BE: 디지털 서비스 전문계약제도
  • 디지털서비스 검색 -> 적합서비스 선택·계약조건 협의 -> 계약 및 납품

클라우드 도입


이미지

비이랩만의 ONE-STOP 클라우드 서비스

클라우드 도입의 A to Z 업무 수행으로 효율적이고 신속한 클라우드 사용

  • 도입에 필요한 핵심요소 Point 컨설팅
  • 시스템 구축 시 Two Track 전략 사용
  • 빠른 서비스 안정화를 위한 전문인력 투입
  • 안정적인 매니지드서비스 제공

비이랩 컨설팅 서비스 이용으로
클라우드 도입 핵심 포인트 3종(비용, 기술, 절차) 완전 해결

카드 이미지

비이랩 마이그레이션 서비스 이용으로
클라우드 서비스 구축/전환 프로젝트의 안정적인 수행 보장

카드 이미지

안정적인 시스템 운영관리를 위해
클라우드 운영센터를 활용한 상시 매니지드서비스 제공

이미지
서비스 활성화

고객의 기존 IT 인프라 분석
 신규 시스템의  클라우드 구축/전환 검토

이미지

프로비저닝 및 오케스트레이션

클라우드 자원의  자동화 설정, 관리, 조정
 인프라 자원 관리의 민첩성 향상

이미지

자원현황 및 분류

이용중인 클라우드 리소스의 현황 파악.
 각 리소스를 이용 목적, 특징 별 분류

이미지

모니터링 및 관측

인프라 상태, 네트워크, 로그 등 모니터링.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상시대응체계.

이미지

보안 및 규정 준수

보안 관련 법률 및 고객의 자체 규정 준수.
 아키텍처가 복잡해질수록 보안의 중요성 확대

이미지

비용 관리 및 리소스 최적화

자원 사용률 파악을 통한 리소스의 최적화
 비용 절감을 위한 다양한 활동 진행

이미지

마이그레이션, 백업 및 재해복구

고객 데이터 유지를 위한 백업 및 복구체계 구축
 클라우드 환경으로의 추가 시스템 이전 지원

이미지

안정적인 운영 관리

Belab ICC를 통한 안정적인 운영관리
고객 시스템 인프라를 클라우드 전문 인력이 대신 운영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Belab ICC(Interactive Contact Center)

24시간 365일 운영하는 클라우드 전문 테크센터

전문 기술센터 운영

고객과의 소통 창구

  •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운영​
  • DB 및 WEB/WAS 기술 문의
  • 기타 이용 소프트웨어 문의
고객의 클라우드 이용간 발생하는
다양한 문의사항에 대한 해결방안 제시

24h 긴급 지원 체계

긴급 상황 즉시 대응

  • 긴급 상황 대응(장애)
  • 원인 파악 후 고객사 보고
  • CSP 인프라 장애, 외부 침입 등
장애 등 긴급한 상황 발생시 즉시 대응하고, 원인 파악 후 고객사에 보고

사업 지원 프로그램

서비스 만족도 향상

  • 월간 보고서 제공
  • 상시 모니터링 서비스
  • 클리우드 운영 지원
고객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다양한 운영 보조서비스 제공

클라우드 최신 기술 활용


오픈 클라우드 플랫폼(K-PaaS)를 이용한 Cloud Native 환경의 시스템 구축

이미지
  • Cloud Native 환경의 컨설팅/마이그레이션 서비스 제공
  • K-PaaS 전문기업 인증을 통한 Cloud Native 기술능력 증빙
카드 이미지

Cloud Native

  • 클라우드 환경을 고려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 운영
  • 확장성을 활용한 비용 절감, 자동화된 관리, 장애시 빠른 복구, 업데이트시 다운타임 제로 등 다양한 장점 보유
  • Container, MSA, DevOps, CI/CD
카드 이미지

K-PaaS

  •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표준모델 + K-PaaS 적합성 인증 서비스
  • 오픈소스 기반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의 운영관리 가능
  • 인프라 종속성 감소, 통합 관제 기능, Hybrid Cloud 통합 관리 등 다양한 장점 보유

클라우드 환경에서 고객의 AI 활용을 위한 AI & Cloud 연계 서비스 제공

이미지

AI(with Cloud) 컨설팅 제공으로 고객의 AI 서비스 구축 지원

  • CSP(AWS, Azure, Naver Cloud 등)는 단순 인프라 제공을 넘어 고객이 AI를 쉽게 이용하도록 변화
  • Cloud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한다면 AI 서비스 구축시 투입 자원의 절감 가능

AI & Cloud 장점

  • CSP 제공 서비스를 활용하여 AI 서비스 구축 간소화

비즈니스 센터 운영


MSP 관제

이미지

인프라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관제 전용 모니터링 툴 사용

  • 인프라 리소스 모니터링 기능
  • CPU, Memory, Disk, Network Traffic 등
  • 고객 희망시 직접 대시보드에 접근할 수 있는 기능 제공
  • 장애 정보 및 알림 기능
  • 상황 발생시 관제 센터 뿐 아니라 고객에게도 자동 연락기능 제공
  • Mobile App, 메일, SMS, 알림톡, Slack 등 다양한 수신 채널 지원
  • 이벤트 통계 기능
  • 이벤트 통계 기능을 활용한 이슈 파악 및 예방정비

지원센터 연락체계

운영 및 기술 지원, 장애 대응 요청 시 단일화된 채널을 통해 신속하고 효율적인 기술 지원을 받을 수 있음.
일관된 고객 경험 제공, 효율적인 문제 해결, 자원 최적화 및 비용 절감,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용이.

이미지

운용 및 기술지원

이미지
  • VPN 계정을 발급 받아 Beyond ICC 에서 각 담당자들이 운영 및 기술지원을 수행합니다.
  • 장애 발생 시 원격 조치를 기본으로 하며, 필요시 고객사 인프라 위치에 방문하여 장애 조치를 수행 합니다.
  • 운영 지원의 경우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까지 지원 합니다.
  • 장애 지원의 경우 24x7 지원을 원칙으로 합니다.